
경북팩트뉴스 남유신 기자 | 한국한의약진흥원의 외국인환자 유치 지원기관인 통인한의원 연구팀(김정현, 이세린, 김미주, 이승환, 박정수)이 수행한 외국인환자 진료 분석 연구가 최근 국제학술지 Frontiers in Medicine에 게재됐다.
이번 논문은 2024년 한 해 동안 서울 통인한의원을 찾은 외국인환자 318명의 진료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의약 중심 의료관광의 진료 특성과 발전 가능성을 분석한 후향적 사례연구다.
팬데믹 이후 외래 한의 의료기관에서 외국인환자 진료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학술적·정책적 의의가 크다.
연구 결과, 전체 환자의 69%가 여성, 연령대는 20~30대가 최다였다. 국적은 미국(31.4%), 프랑스(12.3%), 싱가포르(8.5%) 순으로 나타났으며, 진료 분야는 근골격계 질환이 가장 많았지만 내과·산부인과·정신과 등으로 확장되는 추세였다.
또 환자의 53.8%가 한약을 함께 처방받았으며, 평균 복용 기간은 36.6일로 장기 복용 경향을 보였다. 제형별로는 탕약보다 환제(丸劑)가 2.3배 더 많이 선택돼 복용 편의성에 대한 선호가 확인됐다.
제1저자인 김정현 한의사는 “외국인환자들이 단기적인 통증 완화뿐 아니라 장기적인 건강관리 수단으로 한의 치료를 능동적으로 선택하고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며 “한의약이 관광 콘텐츠를 넘어 글로벌 헬스케어 자원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였다”고 말했다.
통인한의원 이승환 원장은 “한국한의약진흥원의 국책사업 지원으로 이번 논문을 기획·추진할 수 있었다”며 “외국인환자 진료 현황을 널리 알리고 한의사들에게도 새로운 아이디어와 동기를 부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영민 한국한의약진흥원 세계화센터장은 “한국의료관광 시장이 확대되는 시점에서 이번 연구 성과는 한의 의료관광 정책 수립과 제도 개선에 활용될 수 있는 의미 있는 근거 자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