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팩트뉴스 남유신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가 28일 발표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에 포항시가 지정된 것에 대해 지역 정치인들이 “위기 극복 기회”라며 일제히 환영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은 포항시와 지역사회, 국회, 시의회, 경상북도, 지역 기업이 함께 산업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염원이 결실을 맺은 것”이라며 “생존의 기로에 선 철강산업의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아 지역경제 재도약을 반드시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
포항시의회 김일만 의장도 “이번 지정이 단순한 단기 지원에 머물지 않고 친환경 철강 전환과 고부가가치 산업 구조 개편의 계기기 되도록 시의회도 지역 기업·기관들과 긴밀히 협력하겠다”며 “의회 차원의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김정재 의원도 “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산성장산업 육성 및 기업 투자 유치,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강화 등 다방면의 지원이 본격화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는 끝이 아닌 시작으로 정부 예산과 정책이 제대로 집행되도록 끝까지 챙기고 포항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모범도시가 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며 “포항의 미래, 반드시 밝게 열겠다”고 강조했다.
이상휘 의원도 “포항은 철강기업 779개사, 2만1000명이 일하는 국내 최대 철강 거점이지만 글로벌 공급과잉, 중국의 저가 공세, 미국의 50% 관세 등으로 큰 위기를 겪어왔다”면서 “이번 산업위기선제대응 지정은 대한민국 제조업 전체의 위기를 풀어갈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원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꼼꼼히 점검해 포항이 대한민국 제조업 재도약의 심장으로 다시 뛰도록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경북 포항시와 충남 서산시는 이번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오는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간 ▲긴급경영안정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비율 우대, 중소기업 만기연장·상환유예, 협력업체·소상공인 우대보증 지원 등 금융 ▲컨설팅 ▲고용지원 등 다양한 지원이 이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