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팩트뉴스 남유신 기자 | 포항시는 지난 12일 포스텍 포스코 국제관에서 ‘2025 세계지식포럼 포항’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세계지식포럼은 매년 가장 앞선 지식을 공유하고 인류가 직면한 주요 난제를 다루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지식·비즈니스 포럼으로, 포항시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하며 AI·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신산업 거점도시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날 포럼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손현덕 매일경제신문 대표, 김일만 포항시의회 의장, 나주영 포항상공회의소 회장,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 유병옥 포항산업과학연구원장, 정규열 포스텍 교학부총장, 박혜경 한동대학교 학사부총장, 김경훈 카카오 AI Safety 리더, 유관기관장, 시·도의원, 지역대학생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포럼은 ‘대전환기를 항해하는 인류의 새 도전: AI와 공존하는 포항의 미래’를 주제로, AI기술이 가져올 산업·사회적 전환 속에서 포항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항시는 ‘AI와 공존하는 도시’라는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초격차 AI산업 육성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AI 대표도시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선포했다.
기조연설은 인공지능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이안 호록스 옥스퍼드대학교 컴퓨터과학부 교수가 맡아, ‘AI의 한계를 넘어설 열쇠 그리고 그 이후’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유환조 포스텍 인공지능연구원 부원장이 좌장을 맡고, 이안 호록스 교수, 김경훈 카카오 AI Safety 리더, 김인중 한동대 BK21 AI교육연구단장, 나상민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과 서기관이 참여해 AI 발전이 가져올 기회와 위험을 논의했다.
유환조 부원장은 “AI의 한계를 기회로 확장하려면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뒷받침할 국가 차원의 AI컴퓨팅 인프라가 필요하며, 산업과 인재가 집적된 포항이 최적의 도시”라고 강조했다.
제1세션에서는 잭 카스 前 OpenAI 상업화전략 총괄과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이 대담을 통해 ‘넥스트 AI 르네상스’를 주제로 생성형 AI 이후 인류와 산업의 새로운 질서와 기회를 전망했다.
제2세션에서는 크레이그 립셋 前 화이자 임상혁신·벤처파트너 책임자가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발표하며, 임상 데이터와 AI 결합을 통한 글로벌 바이오·제약 산업의 혁신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위베르 베로슈 프랑스 소르본대학교 교수 겸 Urban AI 대표가 ‘AI+AR을 통한 도시발전 전략’을 발표하며, AI·AR 기술이 융합된 미래 도시 모델을 제안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은 산업 대전환의 최전선에서 AI와 신산업을 융합해 새로운 미래 질서를 만들어가야 한다”며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이번 포럼의 성과를 반드시 현실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