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팩트뉴스 남유신 기자 | 대설위 상주향교(전교 김명희)에서는 제53회 성년의 해를 맞아 올해로 만19세가 되는 학생 청소년(2006생)들에게 성년이 됨을 축하하고 이들에게 자긍심과 인정감을 고취시키는 전통성년례(관례⋅계례)를 7월 5일 오전11시 상주향교 명륜당에서 성대하게 개최했다.
국가유산청, 경상북도와 상주시에서 주최하고 상주향교 주관으로 국가유산 활용사업으로 추진한 이번 행사는, 당초 성년의 날(5월 셋째주 월요일) 계획을 했으나 대통령 선거로 인하여 7월7일 개최하게 됐다.
제1부 기념식은 곽희상 사무국장의 사회로 진행하여 의식 행사에 이어 모범 성년에 대한 상주향교 전교 표창이 있었다.
서울시청 공무원 발령대기자인 이재후 군과 서울대학교(언론정보학과) 1학년 한다인 양에게 표창장과 부상으로 4서(四書, 대학, 논어, 맹자, 중용) 1질을 함께 수여했으며, 향토기업인 동아에코팩(주)에서도 기념품을 보내와 함께 수여했다.
아울러, 성년의 다짐문을 성년의 대표로 낭독을 했다.
이어 제2부 행사에서는 관례․계례를 봉행했다.
올해 자체 네 번째로 거행한 이번 전통성년례는 삼한시대부터 시작되어 남자에게 관례(冠禮)를, 여자에게는 계례(笄禮)를 치름으로써 성년이 됨에 따른 계율과 민주 시민으로서의 책임과 권리를 가르쳐 실추된 도덕성을 회복코자 하며, 김명희 전교와 육칠운 성균관 상주여성유도회장께서 빈(賓)을 맡고, 조재석 사회교육원장의 집례로 집사에는 상주향교 장의와 성균관 상주여성유도회원이 수고했다.
전통성년례로 관자에게는 유건, 갓과 도포를 갈아 입히고, 계자에게는 비녀를 꽂고 족도리를 씌워주는 삼가례와 술(차)먹는 법도를 가르키는 초례(醮禮), 이름대신 자(字)를 내려주는 명자례(命字禮)를 끝으로 성년이 됐음을 선언하면서 지켜야 할 도리와 예의를 당부하는 성년선언문으로 훈계와 당부를 했다.
성인이 되는 관자와 계자에게 상주향교부설사회교육원 논어반 권기봉(權奇鳳) 강사께서 자(字)를 내려 주어 붓글씨로 족자를 만들어 수여했다.
그간 우리지역에서는 청리면 율리 존애원에서 1906년까지 백수회와 병행하여 성년례가 개최된 기록이 있으며, 그 후 일제의 단발령으로 중단됐다.
그 후 (사)상주얼찾기회에서 행하여 오다가 중단됐는데 최근 상주향교에서 전통의 맥을 이었다.
한편, 김명희 전교는, “오늘 모범 성년 수상자에게 축하를 드리고, 그동안 잊혀져 온 전통성년례인 관례와 계례는 전통미풍양속의 좋은 본보기가 됐으며, 인간의 4례 중 첫 번째 통과의례인 성년례를 유서깊은 상주향교에서 봉행했음을 축하드린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