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팩트뉴스 남유신 기자 | 경주 황남동 고분군에서 신라 장수로 추정되는 인골과 금동관 일부가 출토됐다.
경주시는 20일 국가유산청과 함께 진행 중인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 과정에서 경주 황남동 120호분 아래에 있던 ‘황남동 1호 목곽묘’(덧널무덤)를 새롭게 확인했다고 밝혔다.
무덤에서는 사람과 말의 갑옷·투구 일체, 금동관 일부, 남성 장수의 인골, 순장된 시종 인골이 함께 나왔다.
‘황남동 1호 목곽묘’는 적석목곽분보다 앞서 조성된 무덤으로, 신라 고분 양식이 목곽묘에서 적석목곽분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무덤 안에서는 신라에서 가장 오래된 금동관 조각이 확인됐다.
또한 사람과 말의 갑옷과 투구가 온전한 상태로 출토됐다.
특히 말의 갑옷(馬甲·마갑)은 쪽샘지구 C10호분 이후 두 번째 발견 사례다.
이를 통해 5세기 전후 신라의 군사력과 중장기병 실체를 엿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무덤 주인은 치아 분석 결과 30세 안팎의 남성 장수로 추정된다.
함께 나온 인골은 그를 보좌하던 시종으로 보인다.
발굴 현장과 유물은 10월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APEC 정상회의 기간 중 일반에 공개된다.
전시는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신라월성연구센터에서 진행된다.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이번 발굴은 신라 고분 형식의 변화와 초기 국가 체제의 위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성과”라고 밝혔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APEC 정상회의를 맞아 신라왕경의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세계인에게 선보이게 됐다”며 “유적의 보존과 공개가 조화를 이루도록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