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팩트뉴스 남유신 기자 | 경북도의회 박용선 의원이 6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전쟁기념관 2게이트 일대)에서 ‘한·미 철강관세 협상 즉각 재개’를 촉구하며 1인 시위를 벌였다.
이번 시위는 포항 철강산업의 위기에 대한 정부의 신속한 대응을 요구하고, 지역경제와 국가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촉구하기 위한 절박한 호소의 자리였다.
박 의원은 지난 3일 ‘한·미 철강관세 협상 촉구 기자회견’에 이어 이날 시위를 통해 ▲한·미 철강관세 협상 즉각 재개 ▲포항 철강 생태계 긴급 회복대책 마련 ▲산업용 전기요금 제도 개선 등 3대 핵심 과제를 정부에 강력히 요구했다.
“포항 철강산업, 이제는 생존의 문제”
박 의원은 “철강은 포항의 일자리이자 대한민국 제조업의 허리”라며 “민생을 말한다면 포항부터 숨통을 틔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는 대미 통상 협의를 즉각 재가동하고, 지역 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전기요금 구조를 합리화해야 한다”며 “포항 철강산업이 직면한 위기는 곧 대한민국 제조업 전체의 위기”라고 지적했다.
박용선 의원의 3대 주요 요구사항
-
한·미 철강관세 협상 즉각 재개
-
한국산 고부가 강재에 대한 TRQ(관세할당) 탄력 운용
-
저탄소 강재에 대한 인센티브 협의 추진
-
양국 산업계 협력을 통한 상생 방안 모색
-
정기적인 통상 실무 협의체 가동
-
-
포항 철강산업 회복 패키지 가동
-
무역금융 및 수출보험 강화로 유동성 지원
-
납품단가 연동제 실질 이행 및 보완
-
중소 협력업체 긴급 유동성 지원 확대
-
고용 유지 프로그램 신설 및 R&D 투자 확대
-
-
산업용 전기요금 제도 개선
-
지역 산업 여건을 반영한 전기요금 차등제 검토
-
전기요금 결정권 단계적 지방 이양 추진
-
요금 결정 과정에 지자체·산업계 참여 확대
-
산업용 전기요금의 예측 가능성 제고
-
철강산업 위기, 포항 경제의 근간 흔들려
글로벌 경기 둔화, 미·중 통상 갈등, 중국산 저가 철강재 확산, 에너지 비용 급등 등 복합 요인으로 포항 철강산업이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관세 부과와 TRQ 제도는 한국산 철강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어, 포항 협력업체들은 수주 감소와 고용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박 의원은 “통상환경 정상화와 비용구조 개선은 지역경제 안정과 국가 제조경쟁력 유지를 위한 시급한 과제”라며 “정부의 실효성 있는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포항부터 살려야 대한민국이 산다”
포항은 국내 최대 철강 생산 거점으로, 포스코를 중심으로 수백 개의 협력업체가 밀집해 있다. 철강산업은 지역경제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수만 명의 고용을 창출한다.
박 의원은 “철강은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주력 산업의 기반이 되는 핵심 소재”라며 “철강산업의 침체는 국가 경제 전반의 위기로 직결된다”고 경고했다.
향후 계획: ‘철강산업 대응 TF’ 제안
박용선 의원은 이번 시위를 시작으로 ‘철강산업 대응 TF’ 구성을 정부에 공식 제안할 계획이다. 이 TF에는 관계부처·지방정부·산업계가 함께 참여해 통상협상, 지원정책, 구조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국회와 정부, 산업계와의 정책 간담회를 정례화하고,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 등과의 실무 협의를 통해 구체적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포항 철강산업의 위기는 곧 대한민국 제조업의 위기”라며 “지역을 대표하는 도의원으로서 포항 경제를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