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팩트뉴스 남유신 기자 |김창혁 경상북도의회 의원(구미7, 국민의힘)은 21일 열린 제359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경북도 경제발전과 민생안정을 위한 선제적이고 책임 있는 정책 결단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미래 산업기반 강화, 금융 인프라 확충, 주거환경 개선, 소상공인 보호 등 네 가지 축의 균형 있는 전략 추진을 경북도에 요구했다.
먼저 김 의원은 기회발전특구 지정이 총 13조 7,312억 원 투자와 6,234명 고용 창출을 이끌 대형 기회임을 강조하며 “선정 이후 적극적인 재정 결단이 부족해 행정적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비 확보와 별개로 도비 재원을 조성해 ‘재정 마중물’을 투입하고, 비효율적 행정 절차를 대폭 줄이는 ‘원스톱 행정지원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또한 김 의원은 경북 수출 1위 지역인 구미의 경제 위상에 걸맞은 금융 인프라 확보의 중요성을 지적하며 한국은행 구미지역본부 재설치를 강력히 요청했다. 구미는 전국 기초자치단체 중 무역수지 4위, 수출액 11위임에도 2007년 한국은행 구미지점 폐쇄 후 정책 금융 대응이 어려워졌다고 지적하며, “경제 규모가 더 작은 도시보다 불리한 역차별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반도체·방산 산업 중심지 구축과 신공항 경제권 연계를 위해 한국은행 지역본부 재설치 필요성에 대한 도지사의 공식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이어 코로나19 위기 속 소상공인 부담 완화를 위해 추진됐던 공공배달앱 ‘먹깨비’ 사업이 도비 지원 종료 후 지역별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공공 조정 플랫폼으로서 경북도의 역할을 회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도내 12개 시군이 자체 예산으로 운영 중임을 언급하며, 도 단위 재정지원 및 운영체계 재정비 의사 확인을 요구했다.
주거환경 개선 문제도 제기됐다. 김 의원은 구미 국가산단 배후 원룸촌의 노후화·공실 증가·범죄·고독사 문제를 언급하며 “사회적 재앙 수준의 슬럼화”라고 진단했다. 이어 “열악한 주거환경은 반도체·AI 등 미래 핵심 인력의 정주를 가로막고 인재 유출로 이어져 지역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결정적 요인”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공공이 공실 원룸을 매입해 청년주택 등으로 전환하는 방식의 특단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김창혁 의원은 “260만 도민의 생존권이 달린 현안들에 대해 경북도가 더 이상 수동적 자세를 버리고, 경제 발전과 민생 안정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과감하고 선제적인 결단을 내릴 때”라고 강조했다.

